1. Flange Design 순서
가. Design Condition 확인, 적정 Gasket 선정
나. Flange 응력계산
1) Bolt 하중을 구한다.
2) 계산상 필요한 Bolt 하중
3) Bolt 소요 총 단면적 계산
4) Flange 에 작용하는 Moment 계산
5) Bolt 체결 Flange 강도계산
6) Flange 각 부분의 허용응력을 검토
다. Stress Check
계산된 실제 Stress와 Allowable Stress 비교
라. Flange Rigidity Check
ASME Section Ⅷ Appendix S에 따라 산정된 Rigidity Indix가 허용수치 이상이 되어야함. ASME Sec.Ⅷ Div.1의 Appendix-2에 따라 설계할 경우 Flange Ring의 Rigid가 충분하지 않아 Bolting시 Flange Ring이 회전하여 Gasket Seating면에 영향을 미쳐 Leak가 일어날 수도 있다.
2. Bolt하중 계산
l 사용상태의 Bolt하중
Wm1 = H +Hp = π/4*G2P + 2πbGmP
- P : 설계압력
- H : Flange에 가해지는 내압의 전하중
- Hp :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Gasket 또는 이음 접촉면에서의
압축력
- G : Gasket 접촉면 평균지름
- b : Gasket 유효 폭
- m : Gasket factor
l Gasket 체결시 Bolt하중
Wm2 = πbGy
- Wm2 : Gasket 체결시 필요한 최소 하중
- y : Gasket 또는 이음 접촉면의 최소 설계압력 (표 1 참조)
l 열교환기 Tubesheet를 끼는 한 쌍의 Flange 처럼 Flange 또는 Gasket이 같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에 대해 계산한 Wm1, Wm2 값중 큰 값을 취하여 사용한다.
3. Bolt의 소요 총단면적 및 실제의 총단면적
l 사용상태 및 Gasket 체결시의 양쪽에 대해 필요한 Bolt의 총단면적은 Am은 다음 값 중 큰 값을 취한다.
Am1 = Wm1 / σb
Am2 = Wm2 / σa
- σb : 설계온도에서의 Bolt의 허용인장 응력 (kg/mm2)
- σa : 상온에서의 Bolt의 허용인장 응력 (kg/mm2)
4. Flange 계산에 사용하는 Bolt하중
l Flange 계산에 사용하는 Bolt하중은 다음에 의한다.
1)사용상태에서의 Bolt하중
Wo = Wm1
2) Gasket 체결시 Bolt하중
Wg = (Am + Ab)/2 × σa
- Wo: 사용상태에서의 Bolt하중
- Wg : Gasket 체결시의 Bolt하중
5. Flange에 작용하는 Moment
1) 사용상태에서 Flange에 작용하는 전 Moment
Mo = Md + Mg + Mt
Mo : 사용상태에서 Flange에 작용하는 전 Moment
Md : Flange 안지름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Moment
(= Hd×hd = π/4 B2P×hd )
Mg: Gasket 하중에 의한 Moment 즉, Flange Bolt 하중과 Flange의 안지름면에 가해지는 하중과의 차로 인한 Moment
(= Hg×hg = (Wo- H)×(C-G)/2)
Mt : Flange에 가해지는 내압에 의한 전하중과 Flange 안지름면에 가해지는 하중과의 차로 인한 Moment
(= Ht×ht = (H- Hd)×ht)
각종 Flange 형태에 따른 Moment Arm
C : Bolt 중심원의 지름
G : Gasket 접촉면 평균 지름
1) Gasket 체결시 Flange에 작용하는 Moment
Mg = Wg ×(C-G)/2
Wg : Gasket 체결시 Bolt 하중
C : Bolt 중심원의 지름
G : Gasket 접촉면 평균 지름
6. Bolt 체결 Flange 강도
1) Integral Type
가) Longitudinal hub stress
Sh = f * Mo
L*g1^2 *B
나) Radial flange stress
Sr = (1.33 te +1) Mo
L*t^2* B
다) Tangental flange stress
St = Y Mo - ZSr
t^2* B
2) Loose type
St = Y Mo
t^2* B
Sr = 0, Sh = 0
f : hub 응력계수 (Figure2-7.6참조)
L : te + 1 + t^3
T d
g1 : Flange 뒷면의 hub 두께
go : Flange 허브끝의 두께
T : 계수 (Figure 2-7.1 참조)
U : 계수 (Figure 2-7.1 참조)
Z : 계수 (Figure 2-7.1 참조)
V: 일체형 Flange 계수 (Figure 2-7.3 참조)
e : F/ho(일체형), F1/ho(Loose형)
ho : SQRT (B*go)
d : U/V * ho*go^2(일체형), U/V1 * ho*go^2(Loose형)
7. Flange 각부분의 허용응력
1) Sh 는 1.5 бf 또는 1.5бn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.
- бf : Flange 설계온도에서의 허용응력
- бn : Nozzle 설계온도에서의 허용응력
2) Sr 는 бf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.
3) St 는 бf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.
4) Sh + Sr , Sh + St 는 бf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.
'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shing Point란? (0) | 2025.02.17 |
---|---|
[설계] Seal weld & Strength weld (0) | 2020.11.09 |
[규격]육각머리볼트 규격(KS B 1002-86 JIS B 1180-1994) HEX.BOLT 규격 다운 (0) | 2020.11.03 |
[교육] 표면 및 형상 오차 (0) | 2020.11.01 |
[압력용기 설계] 설계 업무의 범위 (0) | 2020.11.01 |